⚙️ Backend/스프링(Spring) Framework
스프링 (Spring) 의존성 주입이란 ?
목차
반응형

의존성 주입이란
1. 순서
-준비 @Component, @Service, @Controller, @Repository, <bean> 등을 사용 합니다.
root-context.xml에 등록된 Bean이 Context에 할당
-주입 @Autowired로 요청 -> root-context.xml -> 주입
* @Qualifier("A")를 사용한다면 동일한 타입 중 골라서 주입할 수 있습니다.
* A : id를 설정했다면 id값 작성, 어노테이션으로 설정했따면 해당 클래스의 앞글자만 소문자로 변경된 id값을 작성한다.
예) <bean id = "a" ...> @Qualifier("a")
@Repository
class A_Repository -> @Qualifier("a_Repository")
2. 목적
해당 필드를 사용하는 로직에서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 위함입니다.
선언부와 사용부의 주소를 같이 공유해야 하며, 개발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반응형
'⚙️ Backend > 스프링(Spring)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프로젝트에 템플릿 적용시키기 (0) | 2021.05.11 |
---|---|
Junit 4 & Spring Test을 이용한 TDD 환경 세팅 (0) | 2021.05.11 |
스프링(Spring) -(2) 게시판 만들기 - Service , ServiceImple (0) | 2021.05.10 |
스프링(Spring) -(1) 게시판 만들기 - MyBatis + Oracle DB 연동 (0) | 2021.05.10 |
스프링(Spring) - 스프링 MVC 프로젝트의 기본 구성 (0) | 2021.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