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CSV 란, 무엇인가?
반응형
CSV - Creating Shared Value의 약자이고 우리말로는 '공유가치'라고 하며 하버드대 경영학과 마이클 유진 포터 교수가 2011년 '하버드 비지니스 리뷰'에서 CSV 개념을 발표했다.
- 기업이 수익 창출 이후에 사회 공헌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활동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면서 동시에 경제적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을 이루어지는 행위를 말한다.
- 이는 기업의 경쟁력과 주변 공동체의 번영이 상호 의존적이라는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 경영의 대가 필립 코틀러는 미래에는 소비자의 가치, 기업의 가치, 사회적으로 필요한 가치가 상호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기업가 정신이 요구된다고 주장하였다.
- CSV는 CSR과 비슷하지만 가치 창출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연세대 박흥수 교수는 "CSR과 CSV의 극명한 차이는 가치 창출에 있다. CSR은 선행을 통해 사회에 기업의 이윤을 환원하기 때문에 기업의 수익 추구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CSV는 기업의 비지니스 기회와 지역사회의 니즈가 만나는 곳에 사업적 가치를 창출해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이익을 모두 추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CSV는 CSR보다 진화한 개념이며 기업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세계적으로 CSV를 바탕으로 지역 경제에 관심을 갖고 지역 사회단체와 연계, 진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 그 예로 세계적 통신 기업인 보다폰이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아프리카 케냐에서 휴대폰의 통화 기능을 넘어선 모바일 송금 서비스라는 사회적 상품을 개발한 것이나 네슬라가 아시아 지역 저소득층의 영양 상태를 고려해 영양가 높은 제품을 저가격, 소포장의 '보급형 상품'으로 출시한 것 등이 사례이며 국내에서도 CSV는 점차 활성화 되고 있는 상태이다.
- CSV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것은 아무래도 진정성인데 이는 자칫하면 기업의 요식행위로 간주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예컨데 1990년대 초반 패스트푸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미국과 유럽을 강타할 때 집중포화가 쏟아지자 맥도날드는 이에 대응해 '어린이 비만 퇴치 운동' 등 공감을 불러일으킬 만한 마케팅을 선보였지만 돌아온 것은 역효과였다.
- 소비자들은 맥도날드의 이런 행위가 자사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하다고 여기고 맥도날드 불매운동에 더욱 속도를 올렸으며 이는 슬로푸드 운동의 확대로 이어지기도 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 SI, SM, 솔루션의 차이 (0) | 2021.01.21 |
---|---|
IT 취업준비 (0) | 2021.01.21 |
아두이노(Arduino)란? (0) | 2020.11.29 |
미들웨어(Middleware)란? (0) | 2020.11.29 |
데이터 통신 - OSI 7계층 (0) | 2020.11.29 |
댓글